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상포진은 왜 걸리고 어떻게 치료할까?

by zia-dictionary 2023. 3. 5.
반응형

대상포진의 원인과 전염성

대상포진은 수두바이러스와 동일한 바이러스로 몸속에 잠복해 있다가 활성화되며 생기는 질병을 말합니다.

호흡기 분비물에 의해 전염되는 수두는 예방을 위해 생후 12~15개월의 모든 소아에게 예방접종을 시행합니다.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 중 70~90%는 수두에 걸리지 않지만, 가끔 수두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행인 점은 수두는 한 번 걸리고 난 후에는 평생 면역이 생겨 다시 발병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신,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으로 발병하게 됩니다.

대상포진은 면역력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젊은 사람에게는 발병이 드물고, 6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주로 발병합니다.

그러나 젊다 하더라도 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낮아지면 대상포진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환자나, 장기이식, 항암치료와 같이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 역시 발병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상포진을 앓는다는 것은 과거 수두를 앓았던 병력이 있다는 뜻으로 추가적인 수두 예방접종은 필요 없습니다.

 

대상포진은 면역력과 관련된 만큼 직접 접촉한다고 해서 전염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전에 수두 경험이 없거나 면역력이 낮은 환자나 임산부, 신생아의 경우 대상포진을 유발할 수 있어 접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수두와 달리 대상포진은 면역이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재발할 수 있으며 면역력이 낮아지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상포진 증상과 합병증

대상포진은 신경절에 잠복해 있습니다.

발병할 경우 신경을 따라 퍼지게 되는데, 우리 몸은 척추에서 오른쪽과 왼쪽의 신경이 각각 떨어져 나와있기 때문에 증상은 몸의 한쪽에 국한되어 발생합니다.

대상 포진의 첫 증상은 몸의 한 편에 심한 통증을 느끼고 감각 이상이 발생합니다.

두통과, 호흡곤란, 근육통 등을 느끼며 수포가 없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대상포진이라고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수 일 내에 신경절을 따라 한 쪽 몸에 수포가 발생하고 심한 통증이 동반됩니다. 

이러한 대상포진성 통증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경우도 있습니다.

수포는 10~14일동안 고름이 차며 딱딱하게 변한 후 딱지로 변합니다.

만약, 물집이 터지면 궤양이 형성될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대상포진은 발생 부위에 따라 합병증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눈, 귀 주위나 안면에 생길 경우 안면 마비, 시력 저하  신경 마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광 부위에 발생한 경우 소변을 못 보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체 환자 중 5%는 운동 신경에 침범하여 운동 신경이 마비되어 팔, 다리를 움직이기 불편한 경우도 생깁니다.

 

주요 합병증은 대상포진후신경통입니다.

이는 발진이 사라지고 나서도 1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것으로 10~18% 정도가 느끼며 고령일수록 합병증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대상포진 후신경통은 만성합병증으로 불면, 우울을 일으킬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초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의 진단과 치료

대상포진이 발병하면 물집의 위치나 분포를 통해 대상포진을 진단하게 됩니다.

필요할 경우 수포에서 바이러스를 직접 채취하기도 하는데 수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방법이 조금 어렵습니다.

 

현재로서는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수두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초기에 병의 진행을 늦추고 병증을 약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이 발병하면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합니다. 이는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고 확산 기간을 단축하며 급성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신경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급성기 대상포진 치료의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통증의 경우 스테로이드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나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신경 블록을 시행하는 것이 증상에 도움 되기도 합니다.

 

치료를 빠르게 시작할 수록 치유 속도가 빠르며, 만약 피부의 병증을 잘 관리하지 못할 경우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어 완치될 때까지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