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 2019년 8월 이후 약 3년 만에 난방비가 줄줄이 올랐습니다.
2022년 열 사용요금을 비교해보자면 1 Mcal당 4월 66.98원, 7월 74.49원, 지난달 89.88원 순으로 상승했습니다.
1년 새 38%이상 대폭 인상되었으나 한국가스공사는 인상된 요금은 원가보다 낮은 가격이므로 지금보다 50%이상 더 인상해야한다고 국회에 보고하였습니다.
많게는 2배 이상 뛴 난방요금으로 인해 겨울을 맞은 서민들의 걱정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난방비가 인상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난방비 인상의 이유는 물가상승입니다.
지난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은 시작되었습니다.
2023년 1월 31일 현재까지도 멈추지 않은 전쟁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을 바꾸었습니다.
에너지와 원자재의 공급은 불안정해졌고 이는 금액의 폭등으로 이어졌습니다.
폭등한 에너지와 원자재값, 치솟은 환율로 인해 단가가 상승하였고 난방비가 오르게 된 원인이 됩니다.
또, 코로나 이후 당분간 침체될 것으로 예상되던 시장이 점차적으로 수요를 회복했고 가공식품과 석유, 공업제품, 전기, 수도, 가스 등은 가격이 오릅니다.
높아진 물가, 불안정한 원자재, 환율 상승으로 인해 난방비 역시 상승하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오르던 가스가격은 유럽의 이상고온으로 인해 소폭 하락하였지만 당분간 큰 하락은 없을 것이라고 합니다.
난방비 절약 방법!
1. 난방 설정 방법
실내 적정온도는 20℃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에너지공단의 [겨울철 난방설비 운전메뉴얼]에 따르면 난방 시 1℃를 낮게 설정하면 에너지 소비량이 7℃ 절감된다고 합니다.
보일러는 초반에 온도를 높게 설정한 뒤 낮추는 것이 좋고 지역난방은 0.5~1℃씩 조금씩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 방마다 온도를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온도조절기가 있는 방은 꺼짐 상태로 설저하더라도 미세한 열공급이 됩니다. 따라서 잘 사용하지 않는 방은 가스 밸브를 차단하거나 외출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풍이 심한 집은 바닥을 기준으로 한 온돌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 외출 시에는 온도를 2~3℃ 낮추고, 장기 부재 시 외출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외출모드가 없다면 설정온도를 10~15℃로 낮추면 됩니다.
2. 적정 습도 유지
보일러 가동 시 가습기를 사용하면 수증기에 의해 실내 습도가 높아지고 이는 공기순환을 빠르게하고 물의 비열이 상승하여 열을 더 오래 간직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40~60%의 적정습도는 난방의 효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지고 옵니다.
3. 온수는 40℃정도로 사용
난방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온수입니다. 물을 지속적으로 데우는 데에 많은 에너지가 쓰이기 때문입니다.
온수는 40℃정도의 따뜻한 물을 사용해야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4. 체감 온도를 높이는 방한용품의 사용
창문 등에는 열손실의 방지를 위해 방풍지를 부착하고 두꺼운 커튼을 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 창문 틈에 문풍지를 부착하고 바닥에 러그나 매트를 까는 것이 좋습니다.
내복, 수면잠옷, 온열매트 등 적절히 사용하면 체감온도가 올라 난방에 효과적입니다.
5. 적절한 환기
겨울철 실내 습기와 온도로 인해 결로가 생기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기는 5~10분 정도 실시하며 이 때, 난방을 약하게 틀고 환기하는 것이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6. 온라인 청구서 이용
난방비 청구서를 온라인으로 받는다면 월 2,000원 할인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한국지역난방공사 홈페이지 (www.kdhc.co.kr)에서 서식을 다운 받아 홈페이지 또는 각 지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온라인 청구서를 신청한 경우 종이고지서는 발송되지 않으니 주의해야합니다.
하루 난방비 사용량 확인하여 난방요금 추청하기
하루 난방비가 얼마인지는 간단한 확인과 계산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하루 난방비 사용량 계산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열요금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략적인 금액을 알 수 있게 했으니 참고 바랍니다.
< 하루 난방비 계산법 >
1 | 계량계나 월패드로 하루 사용량 확인 (금일 검침량 - 전일 검침량) *통합계량기(전기, 수도, 온수, 난방)의 경우 다를 수 있습니다. |
예시 (열량계) 1.028Mwh - 1.000Mwh = 0.025Mwh (유량계) 12.5m³ - 10.0m³ = 2.5m³ * 단위를 확인하세요! |
2 | 1일 난방 사용요금을 계산합니다. (1일 사용량 x 난방단가) * 난방단가는 전월 부과된 관리비 고지서를 참조하세요. * 매월 난방 단가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예시 (열량계) 0.025Mwh x 90,000원 = 2,520원 (유량계) 2.5m³ x 1,000원 = 2,500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