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내가 일을 미루는 이유, 지연 행동의 이유와 개선 방향을 알아보자.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가지 일을 미룰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습관이 되어 생활 곳곳에서 드러나게 됩니다. 2023년, 새해가 시작되고 결심한 일들이 있습니다. 다이어트, 매일 블로그에 글 하나씩 적기, 물 많이 마시기 등 정말 많은 다짐을 했습니다. 하지만 한 달도 되지 않아 시들해진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오늘은 해야할 일이 있지만 미루는 행동인 지연 행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블로그에 매일 하나씩 글을 적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렇게 블로그를 개설했고 처음에는 의욕이 넘쳐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적겠노라 다짐했습니다. 그러나 매일 글을 적는다는 것은 점점 압박으로 다가왔고 주제를 찾는 것조차 미루게 됐습니다. 다이어트나 과제를 미루는 행동도 마찬가지이고 생활 속의 작은 일들, 예를 들.. 2023. 1. 30. 철새의 이동 방법과 연구에 대해 알아보자. 철새와 텃새의 차이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있습니다. 변호하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새를 철새라고 부릅니다. 철새에는 겨울 철새와 여름 철새가 있는데, 겨울 철새는 우리나라보다 고위도인 지역에서 번식한 후 늦가을에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새를 말합니다. 겨울 철새의 종류에는 오리·기러기·독수리·콩새·칡부엉이·논병마리·두루미·밭종달·쑥새·양진이 등이 있습니다. 여름 철새는 겨울을 따뜻한 열대지방에서 보내고 봄이 되면 우리나라에 찾아와 번식하는 새를 말합니다. 여름 철새의 종류로는 뻐꾸기·두견이·꾀꼬리·백로·뜸부기·제비·후투티·파랑새·물총새·솔부엉이 등이 있습니다. 또, 우리나라를 중간 기점으로 삼아 봄과 가에 통과하는 새를 나그네새라고 부르는데 도요·물떼새·꼬까참새·흰배멧새·제비갈매기 .. 2023. 1. 28. 열기구 발명의 역사와 조종법에 대해 알아보자! 열기구의 발명과 원리 열기구는 말 그대로 열을 이용해 하늘을 나는 기구입니다. 프랑스 리옹 인근 제지공장을 운영하는 몽골피에 형제는 1782년 11월부터 열기구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열기구를 만들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1) 종이를 불에 태우던 도중 종이 조각들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고 연기가 종이 조각들을 하늘로 뜨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2) 빨랫줄에 걸려있던 치마 속에 연기가 들어가자 치마가 붕 뜨는 것을 보고 생각하였다. 3) 셔츠를 난로 위에 걸어두었는데 셔츠가 부푸는 모습을 보고 생각하였다. 어찌 됐던 몽골피에 형제는 열기구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고 천과 종이로 만든 열기구를 발명하게 됩니다. 최초의 열기구는 1782년 12월 14일, 우리가 아는 둥근.. 2023. 1. 27. 겨울잠과 수면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겨울잠과 수면의 차이 겨울은 추워서 신체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것에 열량을 많이 소모합니다. 그리고 소모되는 열량만큼을 섭취해야 하지만 식량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혹독한 겨울을 나는 방법 중 하나가 겨울잠입니다. 일반적인 수면은 각성상태가 아니고, 각종 대사활동이 느려지는 것을 말합니다. 겨울잠은 겨울철 동물들이 활동을 멈추고 쉬는 것을 말하는데, 겨울잠은 우리가 평소에 자는 수면과는 다릅니다. 물론 일반적인 수면과 겨울잠 모두 활력징후(심박수, 체온, 호흡수 등)의 감소를 보이기는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수면의 활력징후 감소는 겨울잠의 활력징후 감소에 비하면 아주 미미한 수치입니다. 겨울잠은 실제로 휴식을 취하는 수면과는 달리 약간의 각성상태입니다. 일반적인 수면 뇌파를 보자면 각성시.. 2023. 1. 27. 이전 1 2 3 4 5 6 7 다음